
x.com/travelbiztalk
네이버의 여행 검색 강화 외-짧은 소식
x.com/travelbiztalk 를 통해 공유한 짧은 소식들을 모아서 공유해 드립니다. 뉴스레터로 의미와 함께 그냥 약간은 참고할 만한 내용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입니다. 이번주는 살짝 늦었더니 내용이 많습니다.
x.com/travelbiztalk
x.com/@travelbiztalk 를 통해 한주간 공유한 짧은 소식을 공유합니다. 이번 주에 제 관심을 끈 소식은 SBTM과 관련된 내용이 되겠네요. 그외에도 주총주간으로 상장사들의 사업보고서가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x.com/travelbiztalk
x.com/@travelbiztalk 에서 공유한 짧은 소식을 모아서 전해드립니다. BSP 실적이나 항공 판매의 외부 채널 의존도에 대한 세계여행신문의 기사는 참고할 부분이 꽤 많군요.
naver
네이버가 LLM을 적극 도입해서 네이버 검색창을 통한 호텔 검색서비스를 개선했다는 내용을 네이버 기술 블로그 d2에 공개하였습니다. 꽤 많은 부분에서 여행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여행업에 자극이 되는 내용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한국 면세점 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주요 면세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위기를 헤쳐 나가려 하고 있는데요. 현재 면세업계가 처한 현실과 대응 전략을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세계여행신문의 BSP 발권실적 순위를 업체별 합계를 통해 실질적인 발권액 순위를 집계해 보았습니다.
(부제: 그렇게 변한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산업이 되지 않을까? 커머스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얼마전 Skift의 보고서에서 Hotel Direct Booking 이 OTA를 뛰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서 많은 이들이 이게 무슨 X소리냐고 했었는데 해당 내용을 좀 찾아보고 정리해 봤습니다. 과연 직접예약이 OTA를 능가하게 될까요?
2024년 BSP 발권액을 기반으로 항공권 판매 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부제: 팬데믹 이후, “필리핀” 아시아 관광 '후발주자(laggards)'로…. 한국인의 선택지에서 멀어지나? 필리핀이 목적지로서 매력을 점점 상실해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여행업, Travel Tech, OTA와 그 주변 이야기
x.com/travelbiztalk 를 통해 공유된 소식들을 정리했습니다. 이번 주는 단연 교원의 구조조정 소식이 이슈였습니다. 100 여명이라니 그 숫자도 놀랍고 방식도 놀랍습니다.
업계에 있으면 누구나 일지만 자세히는 모르는 GDS에 관해서 정리했습니다. GDS는 이미 대명사가 되어서 함부로 쓸 수 있는 단어가 아니게 되었네요.
x.com/travelbiztalk 를 통해 공유한 짧은 소식들을 묶어서 공유합니다. 티웨이 인수소식은 꽤 오랜 뉴스지만 확정이라는 의미가 있고, 터키항공의 여행업 전업 소식이 눈에 들어오는군요.
최근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한국 면세점 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주요 면세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위기를 헤쳐 나가려 하고 있는데요. 현재 면세업계가 처한 현실과 대응 전략을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x.com으로 공유한 짧은 소식들을 묶어서 공유합니다. BSP 가입 여행사 수가 줄고 있다는 세계여행신문 기사와 티웨이항공 소식이 눈에 들어오네요.
최근 보잉 항공기의 잇따른 사고로 인해 항공업계와 소비자들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보잉과 에어버스가 시장을 지배하는 이유, 보잉 사고가 미친 영향, 그리고 여행자가 항공권 예약 시 항공기 기종을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x.com 을 통해 공유한 소식들을 정리했습니다. AirBnB에 관한 이야기와 대명소노의 항공업 진출에 관한 몇가지 뉴스, 민다와 마리트간의 분쟁에 관한 짧은 소식 등 몇몇 기사는 꽤 관심을 둬야 할 내용이 있네요.
(주) 모두투어네트워크가 사무실을 알아보고 있다는 아주 짧은 소식
지난 몇일간 X.com을 통해 공유한 여행업의 소소한 이슈들을 묶어서 포스팅합니다. 부킹닷컴 소식과 네이버항공, 여행서비스에 대한 불만, 여행업에서 IT와 마케팅 투자에 대한 이야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온라인 여행 서비스들이 활성화 되면서 호텔과 온라인 여행사 간의 연결이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등장한 CMS. 채널 매니저 시스템이 무엇인지 짧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대명소노가 티웨이의 경영에 참여하겠다는 소식이 한주를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그리고 민다와 마이리얼트립 간 분쟁은 여전히 활활 타오르고 있습니다.
세계여행신문의 BSP 발권실적 순위를 업체별 합계를 통해 실질적인 발권액 순위를 집계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