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여행 검색 강화 외-짧은 소식
x.com/travelbiztalk 를 통해 공유한 짧은 소식들을 모아서 공유해 드립니다. 뉴스레터로 의미와 함께 그냥 약간은 참고할 만한 내용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입니다. 이번주는 살짝 늦었더니 내용이 많습니다.

야놀자 2014년 사업보고서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April 1, 2025
야놀자의 2024년 사업보고서가 공시되었습니다. 상징적인 내용도 많지만 야놀자가 투자한 몇몇 기업들의 전년도 실적이 함께 공개되는 것이기에 꼼꼼히 읽어볼 내용이 많습니다.
타 법인 출자 현황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April 1, 2025
- 놀유니버스 -220,884
- 지냄 -6,058
- 프랜트립 -34
- 온다 -13,796
- 캐플릭스 -5,331
(당기순이익 단위 백만원)
그리고 야놀자의 언론 플레이는 포장이 좋군요. 저런 포장은 좀 배우고 싶습니다.

그렇지만 야놀자의 창업자 두명은 큰 결심으로 여행업계의 부러움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런건 칭찬해야죠.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8, 2025
2024년 여행 관련 상장사 실적 분석
여행신문의 상장여행사의 사업보고서 총평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31, 2025
분명 많이 팔았는데…수익은 하락, 인건비는 상승https://t.co/75WJLDPdEW
여행신문의 분석은 상장 여행사와 항공사의 실적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외형확대를 위한 투자는 늘었지만 티메프 사태, 여객기 참사 등 시장에서도 전년 실적은 크게 기대는 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하나투어는 고액 배당을 선택했는데 이게 보기에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혼자 호실적을 내기는 했지만 주가가 낮은 이유도 그렇고... 사모펀드의 매각 작업지연에 따른 현금 빼먹기로 밖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하나투어의 실적대비 낮은 주가 이슈는 해석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미래 비전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라고 봐야겠죠.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6, 2025
그리고 배당의 경우에는 사모펀드의 필요에 의해 현금을 빼간 것이라고 보는게 더 타당하지 않나요? 5,000원, 2,300원이 장난도 아니고..https://t.co/jIvZ76PFPW
그에 따른 선택일까요? 올해 정기 임원인사는 규모가 꽤 작습니다. 다른 이유가 숨어 있겠죠?
2024년 돈 잘 벌었다는 하나투어는 예전보다 소규모 승진인사를 발표했습니다. https://t.co/BtgjeSapNK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8, 2025
하지만 다들 아시겠지만 최악의 실적을 내고 있는 모두투어는 유인태 사장의 부회장 승진, 우회장의 장남 우준열 씨의 사장 승진을 진행했네요. 주가가 낮을 때 달리는 걸까요? 국장의 국룰 중 하나가 승계시 높은 주가는 걸림돌이라죠?
모두투어 우준열 부사장이 신임 사장으로 부임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1, 2025
유인태 사장은 부회장으로.
근데 .. 이런 승진 잔치할 시점이 아닌 것 같기도 하고 ..https://t.co/CKB1YlC8Wp
RXC - 프리즘의 여행업으로 변신은 무죄?
작년 기준 400억 투자에 자본잠식 상태의 기업이라 전혀 신경을 안쓰고 있었는데.. RXC - 프리즘이 최근 들어가보니 이제 여행사가 되었군요. 관광업 등록은 안했지만..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6, 2025
미디어 커머스 스타트업이 쉽지 않았겠죠. 4월에 감사보고서가 볼만하겠군요.https://t.co/prvwYAC9oc
프리즘 - RXC는 시작부터 화려하게 투자 유치와 함께 등장한 커머스의 기린아 였습니다. '미디어 커머스 스타트업' 이라는 슬로건과 유명 커머스 출신의 재도전이 꽤 이슈가 되었죠.

하지만 얼마 후 비슷한 400억이라는 숫자와 함께 다른 뉴스를 통해 세상을 놀라게 했습니다.

최근 프리즘을 방문해 보면 완전 여행 서비스로 변모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비스 타이틀 부터 '프리즘 - 프리미엄 호텔∙여행'이 되어 있네요.
컨셉이 완전히 변신한 프리즘, 꽤 재미난 서비스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DISCOVER. PLAY. GET.'이라는 문구는 공지사항에만 남아 있군요.
아고다? 아고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2, 2025
호텔예약사이트인 아고다에서 시스템 오류로 이중 결제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는데 고객센터마저 불통이라 소비자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다.https://t.co/hRzKpZojmb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2, 2025
배울 것이 많은 아고다지만 소음도 많은 아고다 입니다. 올해 아고다가 항공에서 몇번 더 사고를 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인데 어떤 서비스를 통해 얼마나 실적을 만들어 낼지 궁금하네요.
온다? 간다? 왔다간다?
투자가 잘 마무리 되었나 보군요. 오현석씨가 언론에 다시 등장했습니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6, 2025
기사 내용을 보니 아직 뭔가 뚜렷한 계획은 없어 보입니다. 이제 다음달이면 작년 성적을 감사보고서로 발표해야 할텐데 고민이 많겠군요.https://t.co/R8aRmbh4Zd
일단 투자유치는 마무리 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얼마전에 주주총회도 했다는군요. 루머에 따르면 현재 운영 자금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라 ... 매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당연히 루머입니다.
놀 유니버스의 3대 GDS연동 완료
관계자의 전언에 따르면 하나투어는 2020년에 관련 작업을 마무리 했다고 합니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7, 2025
보도자료로는 국내 최초로 3개 GDS 연동을 마무리 했다고 하지만 놀랍게도 하나투어는 2020년에 마무리 했다고 합니다. 3개 GDS와 API 연동을 하면 뭐가 달라지는 걸까요? 이왕이면 그런 내용을 자세히 설명해 주면 좋겠지만 그러기에는 보도자료가 빈약하네요. 다들 대충 내용을 유추해야 하는 상황인데 내부에서도 그 장점을 잘 살리고 있을 것 같지도 않네요.
말뿐인 Travel Tech가 어떻게 시장을 바꾸는지 보고 싶네요.
네이버의 Travel Tech
네이버 검색이 AI를 접목해 여행 검색을 강화했다고 합니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8, 2025
뭐랄까 여행 관련 콘텐츠를 좀 더 많이 자동으로 큐레이션 하는 형태로 보이는데 AI를 활용했다고 하니 그러려니 하겠습니다.
구글이라면 일본만 오픈 이러진 않겠죠? AI파워부족일까요? 사람 손이 필요한 걸까요?https://t.co/4Xgr3DihjC
네이버 검색의 여행 검색 강화 공지는 참 재미있습니다. 시간을 들여서라도 꼭 일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점진적으로 AI를 도입하겠다는 것도 그렇고 가장 잘 하는 것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조금씩 조금씩 돈이 되는 방향으로 끌어 가는 전략/전술은 전형적인 네어버라고 생각되네요. 네이버는 이런 걸 참 얄밉게 잘합니다.
네이버의 호텔 검색 개선과 관련된 내용도 같이 읽어보시면 참고가 되실 것 같습니다.

소노항공? 소노에어라인?
끝내는 소노에어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March 27, 2025
‘소노에어’ ‘소노항공’ ‘소노에어라인’ ‘소노에어서비스’ ‘SONO AIR’ ‘SONO AIRLINES’ 등 한글과 영문으로 된 다수의 항공업 관련 상표권을 출원https://t.co/PHQiJb8ArL
이름도 대략 소노항공 으로 확정한 것으로 보이지만 공정위는 티웨이의 합병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조금 더 걸리는 상황이 되겠네요. 다들 5월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정리 될 것으로 보고 있네요.


5월까지 기업결합은 공정위로 부터 승인 받을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