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소식-대명소노의 티웨이 인수 소식 외
x.com으로 공유한 짧은 소식들을 묶어서 공유합니다. BSP 가입 여행사 수가 줄고 있다는 세계여행신문 기사와 티웨이항공 소식이 눈에 들어오네요.

여행신문은 왜..?
이걸 몇일째 그냥 두고 있네..
여행신문 지면보기 서비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21, 2025
몇주째 이런 상황인데 과연 알고 있을라나?https://t.co/GSiofoHmXM pic.twitter.com/fhIh1INcUh
BSP 가입 여행사 감소
추세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BSP에 가입하지 않아도 여행업을 하는데 지장이 없기는 하죠.
정말 옛날 기준이긴 하지만 이 대목은 한번 읽어봐 두시면 감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건 시스템이 부족한 작은 곳 이야기이고 대형 여행사의 경우 시스템의 도움을 받게 되니 그 절반 정도의 리소스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실제 BSP가입 여행사의 월 항공권 발권매출이 5억 원일 경우 카운터 1명, 10억 원 일 경우 2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숙련도에 따라 연봉이 달라지긴 하지만 최소 월 400만원 정도가 보통의 임금수준. 여기에 BSP에 가입했다면 기본적으로 년 300만 원대 이행보증보험, 타스프 사용료 70만원, 토파스와 세이버 이용료 300만 원 등 연간 700만원에 달하는 비용이 기본적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BSP여행사들은 여행시장이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월 10억 원을 발권했다고 가정할 경우 유류할증료를 제한 수익 8억 원 중 2% 약 1600만원 수익에서 이것저것 빼면 1000여만원으로 2명의 카운터 월 인건비를 지급하기도 벅찬 상황이다.
줄고 있는 BSP 가입 여행사 현황https://t.co/MDskzO1AWk pic.twitter.com/E7DDgrXrNq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7, 2025
야놀자에프엔비솔루션 매각 대상이 네이버?
네이버 맵 / 예약 서비스에서 나우웨이팅과 오더 시스템, 도도포인트 모두 꽤 잘어울리는 솔루션이긴 합니다. 이걸 못 살린 야놀자가 아쉬운거지 네이버로 가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되겠죠.
야놀자에프앤비솔루션의 인수 대상이 네이버라는 기사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7, 2025
고객 웨이팅 솔루션 나우웨이팅, 픽업·키오스크·태블릿 주문 시스템 ya(야)오더, 고객 마케팅 솔루션 도도포인트
모두 네이버 예약과 잘 어울릴 솔루션이긴 하죠.https://t.co/f4KtSzAjcJ
예림당과 대명소노의 티웨이 협상
주주명부 열람·등사 가처분과 9명의 티웨이항공 이사 추천 안건을 상정해달라는 가처분 신청 모두 취하했다.양측간 지분 매매 및 경영권 이양 등을 포함한 협상이 진전되면서 분쟁이 종료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8, 2025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대명소노가 티웨이항공 경영권을 확보할 전망이다.https://t.co/5ssEVkBl1e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를 합병해 새로운 항공사를 출범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국내외 단거리 노선에 강점을 보이는 LCC, 에어프레미아는 중장거리 중심의 하이브리드 항공사로 서로의 강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https://t.co/6lJwmmOAdZ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8, 2025
끝난 것 같죠? 3월 주총전에 결정날 분위기이긴 합니다만...
숙박 기술 기업 투자 유치는 계속된다.
숙박 수익관리 서비스 제공 스타트업 RoomPriceGenie가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7,500만 달러를 투자 유치 했다는 소식입니다.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9, 2025
호스피탈리티 기술 분야와 기업 출장 쪽으로 투자가 몰리고 있긴 하네요.https://t.co/FOsqMzuflK
출장서비스 아니면 숙박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는 상황이 이해가 되면서도 왜 이렇게 까지 집중되는지는 잘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 계속됩니다. 이번엔 수익관리시스템 (RMS)업체인 RoomPriceGenie의 투자유치 뉴스
해외 OTA의 항공권 시장 진입
아고다 지난해 말 항공 서비스 확대를 위해 항공 전문 담당 한국인 직원을 채용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19, 2025
부킹닷컴 항공권과 액티비티‧렌터카 등 여행과 관련된 서비스를 원스톱 검색하고 예약 ‘커넥티드 트립’ 서비스
트립닷컴 항공권 실적은 한국 진출 해외 OTA들 중 Tophttps://t.co/cxWssEFalA
트립은 이미 5위권 BSP 업체가 되었고 이제 부킹과 아고다가 덤벼들 예정입니다. 다만 가장 먼저 항공시장에 진출한 익스피디아(벡스코리아)가 요즘 조용하죠? 뭘 하고 있는걸까요? 글로벌 구조조정의 여파일까요? 돈 안되는 항공 쯤이야..?
부킹 홀딩스 대표 인터뷰
최근 AI 붐에 대한 부킹 홀딩스 대표의 인터뷰입니다.
몇년 전만 해도 호텔들이 훌륭한 웹사이트를 만들고 직접 예약을 받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고, 나중에는 "구글이 우리를 없애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에 관해서 비슷한 질문을 하는 것이 놀랍지가 않다.
매번 변화가 있으면 호들갑이 심하다는 불만(?)을 이야기 하는 거인의 답변이 재미있습니다.
기사 내용 중 Airbnb - 단기 렌털 영역에 대한 성장세를 이야기 하는 부분에서 부킹홀딩스가 집중해서 덤비면 참 무섭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years ago the talk was that hotels were going to build great websites and take direct bookings, and later it was "Google was going to get rid of us etc."
— TravelBizTalk (@travelbiztalk) February 21, 2025
Fogel said he's not surprised that the rise of generative AI has raised similar questions.https://t.co/fcZ2TkSlek